마이클 잭슨의 조카 앨범 발매기념 탑 아티스트 가족 특집! 음악이야기


마이클 잭슨 조카의 앨범 발매를 기념한 탑 아티스트 가족특집! 탑 아티스트의 가족이라는 사실은, 데뷔 초엔 이목을 끌기 좋은 상당한 이점으로 작용하지만 얼마 지나지 않아 그들의 롱런을 가로 막는 장애물이 되고 만다. 과연 그들은 자신의 이름을 가리고 있는 거대한 그림자를 넘어 설 수 있을 것 인가!

 

마이클 잭슨의 조카, 오스틴 브라운

 

오스틴 브라운은 마이클 잭슨 9남매의 첫째이자 80년대 R&B 뮤지션으로 이름을 날렸던 래비 잭슨의 아들이다.

4살 때부터 전문적인 음악교육을 받아온 그는 20살이 되던 2004, 메이저 레이블인 Interscope Records과 계약한 후 레이블에서 발매되는 다양한 음반에 피쳐링으로 참여해 잭슨 패밀리다운 놀라운 기량을 선보여 음반 관계자들의 주목을 받았고, 2010년에는 마이클 잭슨과 휘트니 휴스턴 등의 앨범을 제작한 스타 프로듀서 로드니 저킨스와 함께 작업한 싱글 [Target Practice]으로 팝 씬에 화제를 몰고 왔었다.

최근 국내에 발매된 정규 앨범 [Highway 85]는 싱글로 발매해 인기를 끌었던 ‘Menage A Trois’와 마이클 잭슨의 [Off The Wall] 앨범을 연상시키는 타이틀 곡 ‘Volcano’ 등 다년간의 작업 결과물 중 엄선된 12개의 트랙이 실렸으며 최신 트랜드를 다양하게 취합한 R&B 사운드를 들려주고 있으며, 그간 잭슨 패밀리가 쌓아온 명성에 부합하는 높은 완성도 또한 돋보인다.

 

조지 해리슨의 아들, 다니 해리슨

 

비틀즈의 맴버 조지 해리슨과 두 번째 부인 올리비아 사이에서 태어난 그의 유일한 아들인 다니 해리슨. 에버튼 FC의 유소년 선수로 활동을 한 이력도 있는 그는 음악적인 환경에서 자라면서 기타는 물론 드럼, 신디사이저 등을 다루는 멀티 인스트루멘탈리스트로 성장했다.

다니 해리슨의 본격적인 음악 활동은 2002년 아버지가 완성하지 못하고 세상을 떠난 마지막 앨범 [Brainwashed]을 완성시킨 후 자신만의 음악적 행보를 선언하면서 시작 되었으며, 2006 4월 얼터너티브 록 밴드 Thenewno2를 결성해 비틀즈의 계보라고 하기엔 굉장히 의외인 로우파이스러운 신스팝을 들고 나타났다.

이미 돈 걱정이 없을 뮤지션이어서 당연한 것 일까, 좋아해달라는 노골적인 구애가 담겨있지 않은 순전히 자신이 하고 싶은 음악을 보여주고 있으며, 그럼에도 듣기에 싫지 않은 이유는 비틀즈 특유의 자의식을 좋은 음악에 녹여내었던 감각은 살아있기 때문일 것 이다.

 

레드 제플린 드러머 존 본햄의 아들 제이슨 본햄

 

슬하에 1 1녀를 두었던 존 본햄의 장남 제이슨 본햄. 아버지의 영향으로 4살 때부터 드럼을 시작해 1985년 밴드 Virginia Wolf로 활동하며 본격적인 프로연주자의 세계에 뛰어든 그는, 아버지만큼의 스타성은 갖추지 못했지만 지미 페이지의 미국 투어, 그래미에 노미네이트 되었던 폴 로저스의 [Muddy Water Blues: A Tribute to Muddy Waters project] 앨범 작업, Black Country Communion 등 다양하게 활동하며 뮤지션들 사이에서 탄탄한 신뢰를 받는 연주자로 성장했고, 스키드 로우의 세바스찬 바하, 엔스렉스의 스콧 이안 등과 함께 리얼리티 쇼에 출연하면서 예능인으로도 높은 인기를 얻고 있다.

특히 레드제플린 재결성 공연과 Black Country Communion 앨범에서 그의 드러밍은 아버지가 개척하고 완성한 하드 록 드럼의 절정을 보여준다.

 

 

 


마이클잭슨의 피는 강하다. 조카에서 증명된 잭슨 가문의 파워 뉴스



마이클 잭슨의 조카, 오스틴 브라운 (Austin Brown)이 새 앨범 [Highway 85]을 발표했다.

 

오스틴 브라운은 마이클 잭슨 9남매의 첫째이자 80년대 R&B 뮤지션으로 이름을 날렸던 래비 잭슨 (Rebbie Jackson)의 아들이다.

 

4살 때부터 전문적인 음악교육을 받아온 그는 20살이 되던 2004, 메이저 레이블인 Interscope Records과 계약한 후 다양한 앨범에 피쳐링으로 참여해 잭슨 패밀리다운 놀라운 기량을 선보여 음반 관계자들의 주목을 받았고, 2010년에는 Michael JacksonWhitney Houston 등의 앨범을 제작한 스타 프로듀서 Rodney Jerkins와 함께 작업한 싱글 [Target Practice]으로 팝 씬에 화제를 몰고 왔었다.

 

이번 앨범 [Highway 85]은 지난해 싱글로 발매해 인기를 끌었던 Menage A Trois’Michael Jackson[Off The Wall] 앨범을 연상시키는 타이틀 곡 ‘Volcano’ 등 다년간의 작업 결과물 중 엄선된 12개의 트랙이 실렸으며 최신 트랜드를 다양하게 취합한 R&B 사운드를 들려주고 있으며,  그간 잭슨 패밀리가 쌓아온 명성에 부합하는 높은 완성도 또한 돋보인다.

 

오스틴 브라운 (Austin Brown)의 새 앨범, [Highway 85]의 국내 배포는 헬로준넷이 담당하게 되며 9일 오후부터 국내 각 뮤직스토어에서 만나볼 수 있다.

 

 


모어뮤직이 추천하는 6월의 록 앨범 음악이야기

록의 계절, 여름의 한 가운데에서 모어뮤직이 추천하는 6월의 록 앨범 3!

 

기술적으로도, 음악적으로도 완벽에 가까워진 진화의 흔적

[Deceiver of the Gods] - Amon Amarth

 

데스 메탈로는 드물게 대중적인 성공을 거둔 2008년 앨범 [Twilight Of The Thunder God] Allmusic 선정올해의 메탈 앨범에 이름을 올린 2011년 앨범 [Surtur Rising]을 연속 히트시키며 최고의 전성기를 누리고 있는 Amon Amarth의 신보 [Deceiver of the Gods]

데뷔 이후 지금까지 Amon Amarth를 지탱해온 가장 동력은 이쪽 장르에서 버리기엔 가깝고 취하면 독이 되어버리는 멜로디라는 요소를 자유자재로 다루는 능력에 있으며, 이 뛰어난 센스 9번째 스튜디오 정규 앨범인 본 작에서도 엿볼 수 있다. 특히 전작에 비에 훨씬 현대적으로 다듬어진 깔끔하면서도 날카로운 기타 톤과 리프가 이 멜로디를 탄탄하게 지탱하고 있다는 점은 의외의 대중성까지 갖추게 만들었다.

 

인큐버스의 보컬, 브랜든 보이드의 솔로 프로젝트

[Compass] - Sons Of The Sea

 

전세계 1 5백 만장 이상의 앨범 판매고, 4번의 빌보드 앨범 차트 1위를 기록한 하이브리드 록 밴드 Incubus의 보컬, Brandon Boyd. Sons Of The SeaBrandon Boyd의 솔로 프로젝트로  [Compass] Incubus의 휴지기를 선언한 뒤부터 지금까지 준비해온 결과물의 중간 결산이다. 인큐버스의 앨범 작업을 맡아오며 My Chemical Romance, The Killers, Pearl Jam 등의 슈퍼 밴드들의 앨범 제작에도 참여해온 프로듀서 Brendan O'Brien와 함께 작업한 이번 작품은 인큐버스 특유의 그루브에 더 고전에 근접한 록 사운드를 입힌 듯한 인상을 주고 있으며 수록 곡 4곡 모두 고른 완성도를 지니고 있다. 인큐버스에서 확 달라진 뭔가를 기대하지 않는다면 누구든 재미있게 감상 할 수 있는 작품!

 

최종 진화 형태의 얼터너티브 메탈

[Between Here And Lost] - Love and Death

 

Korn의 기타리스트로 활동하며 90년대 후반부터 2000년대 초반까지 계속된 뉴 메탈의 절정기를 이끌었던 Brian Welch. Love and Death Korn 탈퇴 4년 만인 2009년부터 새로운 밴드에 대한 계획을 세운 후 여러 번의 오디션을 열고 직접 멤버를 선발하며 많은 공을 들여온 프로젝트이다.

[Between Here And Lost] Love and Death의 이름으로 처음 발표하는 정규앨범으로 덥스텝을 만나지 않았을 때의 Korn의 모습을 상상해 볼 수 있을 정도로 순수 뉴 메탈에 가까운 사운드를 선보이고 있으며 Korn의 작곡에 있어서 핵심을 맡았던 멤버다운 악곡에 대한 뛰어난 센스와 밴드 전체를 좌우하는 프론트맨으로서의 역량까지 담아냈다.

최근 Brian Welch Korn으로 복귀를 선언했기 때문에 이 밴드의 후속 작은 상당한 시간이 흐른 뒤에나 볼 수 있을 듯 하다.


마이클 잭슨 사망 4주기, 재즈 밴드 BWB 마이클 잭슨 트리뷰트 앨범 발매 음악이야기

오는 6 25, '팝의 황제' 마이클 잭슨 사망 4주기를 맞아 국내외에서 콘서트, 전시회 등 각종 추모 행사와 트리뷰트 앨범 발매가 이어지고 있다.

 

지난 6 17일 현대백화점 문역센터점에서 열린 플래시몹 이벤트를 시작으로 22일 홍대 에반스 라운지에서 열린 ‘Remembering Michael 2013 - 불멸의 아이콘에 이어 7월에는 태양의 서커스가 마이클 잭슨을 주제로 만든 공연인 임모털월드투어의 내한공연까지 예정되어있어 추모 열기는 쉽게 가라앉지 않을 전망이다.

 

음반 시장에서도 [THE IMMORTAL World Tour]의 사운드 트랙이 정식 발매되는 등 각종 트리뷰트 앨범이 공개되는 가운데 재즈 씬에서도 마이클 잭슨을 주제로 제작한 한 트리뷰트 앨범이 각종 해외 재즈 칼럼에서 호평을 받고 있다.

 

[Human Nature] - BWB

 

컨템포러리 밴드 BWB가 마이클 잭슨 트리뷰트 앨범 [Human Nature]을 발매 했다.

 

BWB45회 그래미 어워즈 '최우수 팝 인스트루멘탈 앨범' 부문의 수상에 빛나는 '2의 조지 벤슨' 기타리스트 Norman Brown, 그래미 12회 노미네이트 1회 수상 경력의 색소포니스트 Kirk Whalum, 다수의 팝과 재즈 레코딩에 참여하며 세션맨으로 이름을 날린 트럼페터 Rick Braun 등 컨템포러리 재즈씬의 최 정상에 서 있는 연주자들로 구성된 밴드이다.

 

Rick Braun의 제안을 시작된 이번 트리뷰트 앨범의 작업은 밴드 멤버 전원이 마이클 잭슨의 곡들을 함께 감상하며 30곡을 추리고, 다시 여기서 11곡을 추려내는 등 선곡에서부터 신중에 신중을 기했으며, 즉흥에 의존하기 보단 세심한 어레인지로 최대한 원곡의 손상을 줄이고 이에 희박해 질 수도 있는 재즈 음반으로서의 정체성은 치밀한 인터플레이를 통해 지켜냈다.

 

이번 트리뷰트 앨범 [Human Nature]은 지난 2009년에 세상을 떠난 마이클 잭슨의 4주기에 맞춰 발매 됨에 따라 재즈 애호가들은 물론, 마이클 잭슨을 기억하는 팬들에게까지 그의 음악을 되돌아보는 특별한 의미의 앨범이 될 것이다.

 

BWB의 마이클 잭슨 트리뷰트 앨범 [Human Nature]의 국내 배포는 헬로준넷이 담당하며 지금 각 국내 디지털 뮤직 스토어에서 찾아 볼 수 있다.

 

 


롤링 스톤이 선정한 마약 같은 앨범 5장 Vol. 2 음악이야기

일단 본문에 앞서 저희 모어뮤직은 절대 그 어떠한 마약류/향정신성의약품의 사용을 고무하거나 지지하지 않습니다. 음악으로만 미치게 해드릴게요!

 

지난번에 이어 미국의 대중문화 잡지롤링 스톤에 실린 ‘40장의 가장 위대한 마약 같은 앨범에 실린 앨범들 중 모어뮤직이 추천하는 앨범을 소개하는 장입니다.

 

[Dummy] (1994) - Portishead

 

지미 헨드릭스에 이어 2위에 오른 포티쉐드의 1994년 앨범 [Dummy]입니다. 런던의 서쪽에 위치한 작은 항구도시 브리스톨을 중심으로 시작된 트립합을 매우 현대적이고 근사하게 완성시킨 역작으로 손꼽히는데요, 가뜩이나 몽롱하고 우울한 것이 특징인 트립합 사운드 위에 마치 음산한 색감의 파란색이 떠오르는 이펙트와 나른한 템포를 곁들인 음악들이 서서히 오감을 마비시키듯 다가 옵니다.

 



[Paranoid] (1970) - Black Sabbath

 

20위에 오른 블랙 사바스의 1970년 앨범 [Paranoid] 입니다. 보컬 오지 오스본은 실제로 약물과 굉장히 친밀한 관계를 유지했던 분이지요, 그로 인한 사건 사고도 많았고블랙 사바스는 하드 록에 오컬트의 이미지를 입힌 최초의 밴드였기 때문에, 밴드 자신들 또한 그 이미지를 음악적으로 최대한 살리고자 하는 많은 고민들을 했으리라 생각 됩니다. 그렇게 탄생한 음울한 분위기와 어두운 내면을 조용히 음미 해보세요!

 



[Kid A] (2000) - Radiohead

 

20세기 말 록 음악 씬의 최고 역작을 뽑고자 하면 항상 후보로 거론되는 라디오헤드의 Kid A 6위에 올랐습니다. 라디오헤드의 음악이 이 앨범을 시작으로 제정신으로 듣긴 상당히 난해하게 흘러가게 되었죠. 비장하게 흐르는 베이스 음과 프리재즈 스타일의 색소폰 연주가 사람을 불안하게 만드는 ‘The National Anthem’, 12음 기법을 사용한 무조성 현악이 심장을 쫄깃하게 만드는 How To Disappear Completely’ 등등 몸이 조각나는 공포감, 두려움, 불안을 유발하는 LSD 같은 음악이랄까요.


 

[Mellow Gold] (1994) - Beck

 

장르 콜라주의 대가, 천재 괴짜 뮤지션 벡의 메이저 데뷔앨범 [Mellow Gold] 10위에 올랐습니다. 포크와 힙합이 교묘하게 결합된 사운드 위에 흐르는 싸이키델릭적인 요소가 알딸딸한 취기를 만들고 있긴 하지만, 벡이 이 앨범을 통해 언명하고 있는 메시지는 지극히 사실적이고 현실적이며 비관적이기 때문에 마냥 헤헤거리며 들을 순 없는 작품입니다. 우울함과 귀차니즘을 동반한다는 부작용이 있습니다.


 

[Remain in Light] (1980) - Talking Heads

 

18위에 오른 토킹 헤즈의 1980년 앨범 [Remain in Light]. 앨범 제작 당시 밴드 멤버들끼리 상당히 깊은 감정의 골이 있었고 작업에 있어서도 갈등과 다툼이 빈번했다고 하는데요, 대중음악사의 몇몇 사례를 보면 이런 상태에서 흐르는 긴장감이 명반을 만드는데 도움이 되는 것 같기도 합니다. 뉴웨이브와 펑크, 아방가르드, 월드뮤직 등 다양한 장르가 결합된 현란한 사운드와 변화무쌍함이 상상력을 끊임없이 자극하는 작품이지만, 국내에서는 큰 인기를 끌지 못했지요. 음악 감상에 있어서 상당한 내공을 쌓았다 자부하는 분 들은 도전해보세요!

 

 


1 2 3 4 5 6 7 8 9 10 다음